SQL을 본격적으로 공부하기 앞서, 다른 블로그에 있는 SQL 문법을 참고해서 예습차 정리하려고 합니다.
1. SELECT
- 가장 기본인 데이터를 불러오는 쿼리문입니다.
SELECT 컬럼명 FROM 테이블명
테이블명에 해당하는 테이블의 칼럼명에 데이터를 불러오는 구문입니다.
모든 칼럼을 불러오고 싶을 때는 컬럼명 부분에 ' * ' 넣으면 됩니다.
SELECT 컬럼명 FROM 테이블명 WHERE 조건
WHERE 구문을 추가해서 WHERE절 뒤에 오는 조건이 참인 데이터만 불러옵니다.
[ 컬럼명 = 값 ] 으로 적을 경우 컬럼 명의 값이 지정한 값인 데이터행의 데이터만 불러옵니다.
SELECT 컬럼명 FROM 테이블명 WHERE 조건 ORDER BY 컬럼명 ASC or DESC
ORDER BY 뒤에 오는 칼럼명을 기준으로 대하여 불러오는 데이터를 정렬합니다.
ASC는 오름차순, DESC는 내림차순입니다. 기본값은 오름차순으로 정렬이 됩니다.
SELECT 컬럼명 FROM 테이블명 WHERE 조건 ORDER BY 컬럼명 ASC or DESC LIMIT 개수
LIMIT 구문을 추가하여 데이터행이 많을 때에는 LIMIT절의 개수만큼 데이터를 불러옵니다.
2. INSERT
- 데이터를 삽입하는 쿼리문입니다.
INSERT INTO 테이블명 (칼럼명1, 칼럼명2, 칼럼명3) VALUES (값1, 값2, 값3)
테이블명에 있는 칼럼명에 순서에 맞게 값을 입력합니다. 칼럼명과 값의 개수는 동일해야 합니다.
만약에 문자열을 값으로 입력하는 경우에는 작은따옴표로 문자열을 감싸줘야 합니다.
ex. INSERT INTO Employees (Employee_id, First_name, Last_name) VALUES (100, 'Aiden', Lee');
INSERT INTO 테이블명 VALUES (값1, 값2, 값3)
테이블명 다음에 칼럼명을 입력하지 않은 경우입니다. 이 경우는 테이블에 모든 칼럼에 값을 입력한다는 의미로 모든 칼럼의 수에 맞게 값을 줘야 합니다.
ex. 칼럼이 Employee_id, First_name, Last_name 3개인 테이블에서
INSERT INTO Employees VALUE(100,'Aiden') => 실패
INSERT INTO Employees VALUE(100,'Aiden', 'Lee') => 성공
3.UPDATE
- 데이터를 수정하는 쿼리문입니다.
UPDATE 테이블명 SET 칼럼명 = 변경할 값
테이블에 있는 모든 데이터의 갈럼 값을 변경합니다.
UPDATE 테이블명 SET 칼럼명 = 변경할 값 WHERE 조건
WHERE절에 조건에 해당하는 데이터만 변경합니다.
ex. WHERE 컬럼명 = 값
UPDATE 테이블명 SET 칼럼명1 = 변경할 값1, 칼럼명2 = 변경할 값2 WHERE 조건
변경할 칼럼이 여러 개일 때 콤마(,)를 사용하여 여러 개 값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4. DELETE
- 테이블에 데이터를 삭제하는 쿼리문입니다.
DELETE FROM 테이블명
테이블에 있는 모든 데이터를 삭제합니다.
DELETE FROM 테이블명 WHERE 조건
WHERE절에 조건에 합하는 데이터만 삭제합니다.
'기타 >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Ubuntu 20.04 에서 MySQL과 Workbench 설치 (0) | 2022.09.07 |
---|